뉴스 |
이뇨작용, 항균작용 강한 삼백초 2016-04-25 07:56 |
 |
삼백초(약모밀)는 뿌리와 잎, 꽃까지 모두 흰색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하지만 약용과 식용으로도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이뇨, 구충 용도의 약초로 많이 사용하며, 식품에도 부원료로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 등에서는 삼백초 추출물을 식품원료로 가공하여 판매하기도... |
|
日 관절소재, 글루코사민 시장으로 잠입 2016-04-19 17:05 |
 |
일본의 관절시장은 소재개발이 한창이다.
다양한 소재들이 관절소재로 개발되고, 수요를 높여갈 수 있었던 배경에는 글루코사민 마켓인 전략이 크게 작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소재들이 글루코사민 서포트 소재이자 차별화 소재로서 채용을 높여갈 수 있었다.
관절... |
|
고대부터 민간요법 각광, 알로에 2016-04-18 07:27 |
 |
홍삼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가 알로에다.
알로에는 오랫동안 민간요법에 사용된 실물인데, 기록에 따르면 이집트 왕조시대부터 이미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알로에의 젤리상의 물질은 뛰어난 치유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알로에의 다당체는 면역기능 강화 역할을 할 수 있다. ... |
|
우리 회사는 어떤 유형일까? 2016-04-12 16:14 |
 |
많은 사람들이 건강기능식품 산업을 미래의 고성장 유망 산업으로 꼽는다.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분야 자체가 건강하게 오래살고 싶은 인간의 본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
이러한 분석을 증명하듯 건강기능식품 산업은 매년 상당히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2014년을 기준으로 건강기능식품... |
|
소화를 돕고 장을 보호하는, 아티초크 2016-04-11 08:28 |
 |
아티초크는 먹는 꽃봉오리로도 알려진 엉겅퀴과의 식물이다.
연한육질 부분에 다량의 식이섬유와 비타민을 함유해 지중해 연안에서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끌어왔다.
단백질, 비타민A, C, 칼슘, 철, 인, 당류, 이뉼린 등이 함유되어 약용으로도 많이 이용한다.
특히 아티초크추출물의 카페오일퀴닉산(Caffeoylquinic ... |
|
日 인기 관광상품, 효소 대신 청즙 2016-04-06 07:55 |
 |
일본 여행객들의 쇼핑백 속에 가장 많이 담긴 건강기능식품은 ‘청즙’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까지 압도적으로 인기가 높았던 효소제품의 수요는 하락하고 대신 청즙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1위로 올라섰다.
2위는 효소, 3위는 콜라겐 순.
브랜드별 인기순위는 ‘대맥약엽분말 100%’ ‘아미노콜라겐’ ‘칼로리밋... |
|
카로티노이드 풍부한 식품원료, 토마토 2016-04-04 07:55 |
 |
토마토는 건강에 좋은 성분이 함유된 건강 과일이다.
영국에서는 토마토를 ‘사랑의 사과’라 칭송하고, 이탈리아에서는 ‘황금의 사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토마토의 진정한 가치는 카로티노이드 성분과 아미노산 성분에서 나온다.
토마토에는 루틴이라는 아미노산 성분과 라이코펜이라는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들어... |
|
2015~2016 주요법률개정 내용 정리 2016-03-29 16:41 |
 |
건강기능식품법 중 지난해 개정되거나 올해 개정된 부분, 그리고 변화가 예정된 부분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혹시 개정된 내용을 모르고 지나치지는 않았을까?
건강기능식품 정책과 홍정미 주무관이 3월24일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인정절차에 대한 민원설명회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법률 개정사항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 |
|
눈 건강의 새로운 강자, 카시스 2016-03-27 21:10 |
 |
카시스는 블랙커런트의 불어명이다. 비타민C가 풍부하고 칼슘과 인, 철분 등이 풍부하다.
이외에 안토시아닌 등 폴리페놀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기능 등도 기대할 수 있는 원료다.
특히 일본에서는 컴퓨터 작업 등으로 인한 급성 근시 억제, 야간운전 등의 암시력 개선, 혈액순환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
日 DHA ‘인지기능’ 이름표 달아 2016-03-23 08:26 |
 |
일본의 DHA 시장규모는 390억엔으로 추정되며, EPA와 함께 오메가3 시장의 약70%를 점유하고 있다.
오메가3계 소재는 뇌기능 및 혈액순환 개선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익히 알려져 왔는데, 최근 일본에서는 DHA가 은행잎에 이어 두 번째로 인지기능을 지원하는 기능이 있다는 기능성표시식품 이름표를 달고 수요를 높여가고 있다.&n...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