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오까히로시、나까모또다이스케、시가마코타、후지이하지메
주식회사 아미노업화학연구부
【배경?목적】 Oligonol은 리치 과실의 폴리페놀 폴리머를 저분자화하여 생체에 흡수되기 쉬운 올리고머로 가공한 기능성 소재이다. 지금까지 사람을 통한 시험에서 피하지방및 내장지방의 감소효과、고지방식 부하 마우스 모델에서는 아디포넥틴이나 TNF-a등의 아디포카인 mRNA의 발현조절 작용이 확인되었다. 또한 최근들어 rat초대배양 지방세포에서 ERK1/2의 인산화를 통한 중성지방의 분해촉진 작용이 보고되었다. 금번 고지방식 부하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간장의 지방산 대사계 효소 및 지방조직의 UCP-1에 대한 Oligonol의 작용을 검토했다.
【방법】 ddY마우스에 고지방식 및 100 mg/kg의 Oligonol을 30일간 섭취시키고 강제 수영을 주3회 부하했다. 평가항목은 체중、백색 및 갈색지방량、간장의 지방산 산화효소인acyl-CoA oxidase 1(ACO1)및 medium chain acyl-CoA dehydrogenase(MCAD)의mRNA레벨、또한 이러한 산화효소의 상류에 위치하는 PPAR-a의 mRNA레벨을 측정했다. 또한 백색 및 갈색 지방조직의 UCP-1 mRNA레벨에 대한 Oligonol의 효과도 검토했다.
【결과?고찰】 Oligonol투여에 의해 체중 및 백색지방의 증가가 억제되었다. 지방산 대사관련 효소에 관해서는 ACO1및 MCAD의mRNA레벨이 Oligonol섭취에 의해 유의하게 상승했다. 또한 갈색지방의 UCP-1 mRNA의 발현 상승에 더하여 백색지방에 있어서도 UCP-1 mRNA의 상승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의 지견 및 이번 결과로 부터 Oligonol은 중성지방으로 부터 지방산에의 분해를 촉진하여 지방산 대사 및 그에 따른 산화 에너지의 열변성을 활성화 함으로서 지방 저감작용을 발휘하고 있을 가능성이 시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