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고놀은 고농도 글루코스 부하에 의한 사람 혈관내피세포의 인슐린 시그널 억제를 정상화 시킨다 -산화 스트레스를 개입한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올리고놀의 기능-
고혈당은 혈관 내피 세포에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하여 당뇨병의 합병증 진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고혈당은 혈관 내피세포에서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이 활성산소도 인슐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높히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우리들은 고혈당상태 혹은 활성산소종의 하나인 과산화 수소를 혈관 내피세포에 부하하여 인슐린 시그널 전달계에 관여하는 분자(P13-K, Akt/PKB)에 대한 올리고놀의 역할을 평가했다. 그 결과 고혈당상태및 과산화수소는 모두 Akt/PKB 분자의 인산화(활성화)를 저해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혈관 내피 세포에 유도했다. 올리고놀은 고혈당에 의해 유도되는 활성산소를 농도의존적으로 유도하고 고혈당이나 과산화 수소에 의한 Akt/PKB의 인산화 저해를 억제했다. 또한, P13-K의 특이적 저해제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올리고놀의 Akt/PKB에 대한 작용이 감약되었다.
이상으로 보아 올리고놀은 고혈당상태나 과산화 수소 부하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인슐린 시그널 억제를 정상화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한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이 정상화 작용 기서로서 올리고놀이 혈관내피세포의 활성산소의 산생을 억제하여 Akt/PKB의 인산화 저해(불용화)를 해소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그 작용점은 인슐린 시그널 전달계에 있어서 Akt/PKB의 상류에 있다고 생각된다.
P13-K:포스파티딜이노시톨3-키나제. 포스파티딜이노시톨의 3위를 인산화하는 효소로 인슐린시그널 전달계에 있어서는 인슐린 수용체의 하류, Akt/PKB의 상류에 위치한다.
Akt/PKB:세린,트레오닌 잔기를 인산화하는 효소. 자신의 세린473잔기 및 트레오닌 308잔기가 인산화를 받음으로서 활성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