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주식 문화권에 부족하기 쉬운 아미노산 공급
젓갈을 빼고는 우리 전통음식을 논하기가 어렵다.
그 자체로도 훌륭한 밑반찬이 될 뿐만 아니라 김치 등 각종 발효식품을 만드는데도 젓갈이 빠지지 않고 사용된다.
젓갈의 종류도 매우 다양해 원재료에 따라 30여종에 이른다.
젓갈은 생선이나 어패류를 소금에 절여 일정 기간 숙성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숙성되는 동안에 어패류 특유의 미생물들이 효소를 분비해 어패류의 신체를 소화시키게 된다.
젓갈에는 특히 라이신과 트레오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쌀을 주식으로 할 경우 대표적으로 부족해질 수 있는 아미노산들이다.
또 비타민B12 등 식물성 식품에 치우친 식사를 할 때 부족해지기 쉬운 미량 영양소도 풍부한 편이다.
전통 음식에서 뺄 수 없는 젓갈
젓갈을 빼고는 우리 전통음식을 논하기가 어렵다.
그 자체로도 훌륭한 밑반찬이 될 뿐만 아니라 김치 등 각종 발효식품을 만드는데도 젓갈이 빠지지 않고 사용된다.
젓갈의 종류도 매우 다양해 원재료에 따라 30여종에 이른다.
대표적으로 새우젓, 멸치젓, 굴젓, 창란젓, 명란젓, 오징어젓, 조개젓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상으로만 보면 젓갈은 염분이 높기 때문에 건강한 음식이라고 주장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지역의 식문화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어째서 젓갈을 애용하고,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 건강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